요즘 사회적으로 성인 ADHD가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성인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라고 불리는 병입니다. 국내 성인의 4% 정도가 성인 ADHD를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회생활이 힘들고 대인관계에도 문제가 생기기도 하며 더 나아가 심각한 사고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질환의 원인 및 증상을 알고, 자가진단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인 ADHD 원인]
성인 ADHD의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지만 유전적 요인, 심리. 환경적 요인, 신경생물학적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소아청소년 ADHD는 유전성이 높은 질환입니다. 보통 50% 이상의 유전율을 갖고 있고, 어릴 때 ADHD를 갖고 있던 아이들이 성인이 되면서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또한 인간의 뇌의 일부 중 전전두엽과 청 반핵이 집중과 충동성을 조절하는데 이때 나오는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 이상으로 생기기도 한다고 합니다. 뇌파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기도 하고, 어떠한 심리적인 학대나 고통에 의해서 생기기도 합니다.
[성인 ADHD 증상]
소아청소년 ADHD가 있는 아이들은 심하게 뛰거나 반응을 심하게 하는 등의 과다활동이 있지만, 성인은 보통 사회화 과정을 겪게 되면서 과다활동의 증상은 줄어들게 됩니다. 그러나 충동성과 집중의 어려움이 많이 생겨서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성인 ADHD 환자들은 불안장애, 우울증, 알코올 중독, 인격장애, 비만, 수면장애 등 여러 가지 다른 질환과 동반하여 나타나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사회적으로 한 직장에 오래 다니기 어렵거나 직장에 아예 적응을 못하여 실직해 있는 상태가 많다고 합니다. 시간 약속을 지키거나 제때에 업무를 수행하기 어려워하고, 실수를 많이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결과로 감정조절이 어려우며 충동적이게 됩니다. 일반 성인들과는 다르게 타인을 간섭하기도 하며, 말을 지나치게 많이 하고, 빨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긴장감도 매우 높아 사회생활을 힘들어하기도 합니다.
충동적인 성향으로 인해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도 높고, 사고율도 높은 편이나 법규를 위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성인 ADHD 자가진단]
가까운 정신과를 찾아가 상담받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빠른 방법이지만, 가볍게 의심이 될 정도라면 자가진단을 통해 체크해 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성인 ADHD의 경우 일을 할 때 일의 수행을 어려워하지 않으나 마무리를 잘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어려운 일을 할 때에는 실수를 잘하기도 합니다. 또한 체계적인 일을 할 때에 순서대로 일처리를 못해 곤란해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중요한 약속을 해놓고 약속을 새까맣게 잃어버리기도 하고, 해야 할 중요한 일을 놓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람들에게서 눈치 없다는 말을 종종 듣기도 합니다. 곤란한 일이 생기는 경우에 해결하지 못하고 미루거나 피하기도 합니다. 무언가를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경우, 가만히 있지 못하고 몸을 움직이거나 손가락이나 말을 움직이기도 합니다. 무언가 활동을 할 때 적당한 것 없이 지나치게 활동하기도 하고, 지루한 순간을 참아내지 못합니다. 누군가와 대화를 할 때 집중하기 어려워하거나 중간에 말을 끊고 본인 주장을 하기도 합니다. 대화나 작업 중 주변에서 어떠한 일이 벌어 질 때 대화나 작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산만해 집니다. 강연이나 세미나등 오래 앉아서 들어야 하는 상황에서도 계속 앉아있지 못하고 잠깐 화장실을 가거나 주의를 환기하러 밖에 나가기도 합니다. 차례를 기다리는 경우에도 차례를 기다리는 것을 어려워 합니다. 또한 혼자 쉬고 있을 때 마음을 편하게 갖고 쉬는 것을 어려워 하거나 TV 시청이나 게임을 과도하게 하여 일상에 지장을 주기도 합니다. 만약, 이러한 상황이 어릴 때부터 지속되었다면 심각한 ADHD일 가능성이 높으며, 현재 나의 상황과 부합되는 부분이 많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가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류성 식도염 증상 체크하고 도움되는 음식 알기 (0) | 2022.11.02 |
---|---|
아토피 증상과 원인 및 관리법 (0) | 2022.10.28 |
무기력증 증상, 원인 알기 및 극복하기 (0) | 2022.10.26 |
몸에 나쁜 음식과 몸에 좋은 음식 10가지 (0) | 2022.10.26 |
치매증상과 건망증 구분과 예방하기 (0) | 2022.10.25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