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을 하다 보면 만사가 귀찮고, 힘이 없는 것 같고, 잠만 자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하루 이틀 지속되면 괜찮으나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지속이 되면, 내가 무기력증은 아닐지 걱정이 됩니다. 무기력증 증상을 함께 체크해 보고, 내가 무기력증이라면 함께 극복하는 방법을 알아보면 좋겠습니다.
[무기력증 증상]
무기력증 증상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흥미를 잃는 것입니다. 매사에 재미가 없고, 관심거리가 없어지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긍정적인 생각보다는 부정적인 생각을 많이 하게 되고, 나의 가족뿐 아니라 가깝게 지내는 친구들조차도 나에게 관심이 없는 것처럼 느끼기도 합니다. 성인이라면 현재 하고 있는 일은 적성에 안 맞는다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되고, 매사에 조바심이 생기고 쉽게 긴장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스트레스를 받다보니 없던 두통이 생기거나 항상 있던 두통의 증상이 더욱 심해지기도 하며 음주나 흡연 횟수가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하루를 푹 쉬더라도 다음날이 되면 기운이 없고, 쉽게 피로해진다고도 합니다. 예전과 같지 않은 컨디션에 기억력도 더 떨어지고, 업무에 집중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되며 의욕도 떨어집니다. 피곤하다고 느끼지만 밤에 깊이 못 자는 불면증이 생길 수도 있으며 규칙적으로 했던 식사의 양이 현저히 줄거나 늘어나기도 합니다. 무기력증이 지속되면 점점 내가 하는 일이 무슨 의미가 있나 싶은 생각이 자꾸 들게 되고, 좋아하는 일도 귀찮게 느껴집니다. 어떠한 문제가 생기더라도 직접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결정을 못하는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변하게 됩니다.
[무기력증 증상과 헷갈리는 번아웃 증후군]
번아웃 증후군은 무기력증 증상과 비슷하여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번아웃 증후군은 말 그대로 에너지를 다 써서 없어진 상태이고, 무기력증은 에너지가 있지만 에너지를 쓸 방향을 잃는 경우 이기에 차이점은 있다고 합니다.
무기력증과는 조금 다른 번아웃 증후군은 겉으로 보아도 에너지가 없이 아파보이는 느낌이 있기도 합니다. 쉽게 피로해지며, 매사에 흥미가 없어집니다. 하루의 일상이 끝나면 모든 에너지가 고갈된 것처럼 느껴지게 되고, 활동량이 줄어듭니다. 우울증처럼 슬픈 감정이 들기도 하며, 쉽게 짜증이 나고 화를 참지 못합니다.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 힘들어 혼자 있게 되고, 가까운 사람들에게 쉽게 감정이 상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두통 및 소화불량이 생기기도 합니다.
[무기력증 원인]
무기력증은 우울증, 갑상선 저하증, 만성통증, 뇌손상, 빈혈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신체에 아무런 문제가 없음에도 나타나기도 합니다. 건강한 신체이지만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약물을 꾸준히 복용하며 무기력증이 생기기도 하고, 운동 부족으로 인해 신체가 무겁게 느껴져 만사가 귀찮아지기도 합니다. 과로를 하여 만성피로가 생기는 것뿐 아니라 과도한 스트레스도 원인이 됩니다.
[무기력증 극복하기]
신체적인 증상으로 인해서 무기력증이 생겼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상담하여 꾸준히 약을 복용하고,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별 이상 없이 생긴 무기력증이라면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갖고 충분한 수면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신체에 에너지가 적절하게 유지되면 자신감이 생기기도 하고, 좋은 기분을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에너지를 위해 꾸준히 운동하는 것도 좋습니다. 처음엔 무기력하여 운동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시작부터 큰 목표를 잡지 않고, 아주 작은 운동부터 천천히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 이후 무언가 성과가 따라오길 기대한다기보다는 지켰다는 것에 뿌듯함을 느끼고 마무리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스트레스가 원인이기도 하니 꾸준한 취미생활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도 매우 좋다고 합니다. 꾸준한 취미생활은 모든 활동의 활력이 되기도 합니다. 일도 또한 마찬가지로 한 번에 많은 에너지를 쏟아서 하려는 것보다는 미리 계획을 짜고,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하루 일과를 마무리 해야 합니다. 친구들과 수다 떨기, 가볍게 산책하기, 좋아하는 음식 먹기 등 내가 좋아하는 일도 일주일이나 한 달에 한 번씩 꼭 하여 활력을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토피 증상과 원인 및 관리법 (0) | 2022.10.28 |
---|---|
성인 ADHD 원인 및 증상 알고 자가진단 해보기 (0) | 2022.10.27 |
몸에 나쁜 음식과 몸에 좋은 음식 10가지 (0) | 2022.10.26 |
치매증상과 건망증 구분과 예방하기 (0) | 2022.10.25 |
당뇨 증상 알아보고, 당수치 낮춰보기 (0) | 2022.10.25 |
댓글0